초등수학 기초연산 지도 요령
초등 1학년
5+7=12
15+7 =22
25+7=32 같은 받아올림의 규칙을 이해하고 물었을 때 바로 암산할 수 있게 한다
12-5=7
22-5=17
32-5=27 같은 받아내림의 규칙을 이해하고 물었을 때 바로 암산할 수 있게 한다
초등 2학년
1. 두 자리 수끼리의 받아올림 받아내림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지 않고 바로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
가로셈을 세로셈으로 바꾸지 않고도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
2. 구구단을 바로 대답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한다(나눗셈을 이용한 역연산이나 구구단 거꾸로 외우기 등이 방법이다)
초등 3학년
1.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여러 번 있는 계산도 적지 않고 바로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
가로셈으로도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
예) 421-156= 이 문제를 계산할 때, 일의 자리는 받아내림이 있음을 생각하고 4+1로 바로 계산하여 쓰고 십의자리는 받아내림을 했다 는 걸 기억하고 또 받아내림을 해야함을 생각하고 5+1로 계산하여 쓰고 백의자리는 받아내림을 했다는 걸 기억하고 3-1을 해서 적는다(400-123이나 411-123 같은 계산은 아이들이 잘 틀리는 계산이니 받아내림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게 하고 계산하게 함)
2. 여러 자리의 수와 한 자리 수의 곱셈은 가로셈으로도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역시 받아올림을 적어서는 안된다)
3. 여러 자리의 수와 한 자리 수의 나눗셈은 계산 순서를 철저히 익히게 한 후엔 과정을 쓰지 않고도 나눗셈을 할 수 있도록 연습, 가로셈으로도 바로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나누어지는 수의 앞자리부터 한자리씩 나누면서 몫을 생각하게 해야 함 ( 8나누기 2에서 8이 나누어지는수, 2가 나누는 수임)
예: 357나누기 4=89...1 이렇게 바로 계산해서 쓸 수 있도록 연습
4. 여러자리 수 곱하기 한 자리 수의 계산은 가로셈으로도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역시 받아올림은 적지 않는다)
초등 4학년
1. 나누는 수가 두 자리 이상인 나눗셈은 6나누기 3=2 ,60나누기 30은 2, 600나누기 200=2 처럼 몫이 같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몫을 예상하여 푸는 것임
예) 456나누기 12를 한다고 하면 나누어지는 수의 앞자리부터 한자리씩 몫을 생각한다...4나누기 12가 안되니 백의 자리 몫은 생기지 않고 45나누기 12를 하여 십의자리에 몫을 쓴다...45나누기 12를 할 때 10개씩 묶어서 나눈다고 생각하여 45는 4묶음 정도 12는 1묶음 정도로 보고 몫을 예상하는 것임...4묶음 나누기 1묶음이 4니 몫이 4정도 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 것임...그러나 12곱하기 4를 암산하면 48로 45보다 크게 나오기 때문에 이 때는 몫을 1 줄여 3으로 생각하여 계산하는 것임...같은 방법으로 계속 계산하여 나감...
2.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선
대분수의 덧셈과 뺄셈은 가분수로 고쳐서 계산하게 하지 말고 반드시 자연수끼리 분수끼리 계산하게 해야 함
분수에서도 자연수와 분수사이에서 받아내림과 받아올림이 원리를 적용하여 계산하게 한다
예: 3과 5분의 3 + 1과 5분의 4를 계산할 때..분수자리에서 받아올림이 있음을 생각하고 자연수 자리 3더하기 1에 1을 올려 5를 쓴후 분수는 5분의 2를 쓰게 한다
3과 5분의 3-1과 5분의 4를 계산할 때...분수자리 5분의 3에서 5분의 4를 뺄 수 없으므로 자연수 자리에서 1을 빌려온다 생각하고 1을 5분의 5로 바꿔 분수자리에 내리는 것이다..그래서 분수 5분의 8에서 5분의 4를 뺀다...계산결과를 쓸 때 순서는 분수 자리에서 받아내림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연수자리를 먼저 계산하여 쓰고 분수자리를 계산하여 쓰는 것이 좋다(받아올림도 마찬가지)
초등5학년
1과 자기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 즉 약수가 2개인 수는 2, 3, 5, 7, 11, 13, 17, 19, 23...정도는 외우게 한다..이러한 수가 분모 분자에 있을 때는 자기 자신만으로밖에 약분이 안된다..
25의 배수의 규칙 125의 배수의 규칙을 이해하고 외우게 한다
11단 12단도 외우게 하면 좋다...
그리고 최소공배수는 큰 수의 배수 중에서 찾을 수 있다 .. 예를 들면 6과 8의 최소 공배수는 8의 배수 8, 16, 24...중 6의 배수도 되는 가장 작은 수인 24 ...물론 이렇게 쉽게 찾을 수 없을 때는 연제법을 이용한다
최대공약수는 작은 수의 약수 중에서 찾을 수 있다..예를 들면 12와 30의 최대공약수는 12의 약수 12, 6, 4...중 30을 나누어떨어지게 할 수 있는 가장 큰 약수인 6인 것이다...
초등6학년은 5학년 과정만 열심히 해두면 특별히 연산에서 연습할 것은 없다...
지도할 때 참고하고 혹시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물어보삼~